IT 5

애플워치 배터리 오래 사용하는 방법!!

애플워치 출시가 벌써 오랜 시간이 되어가네요,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애플워치 잘 사용하고 계신가요? 출시 때 바로 구매해서 지금까지 사용하면서 큰 활용 없이 그냥 패션으로 장착 사용할 때가 많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실용성 있는 os 업데이트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현재 아이폰과 자동차에서 블루투스 연결 후 운전 중 시리를 불러 "음악 틀어줘"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 같은데요. 개인의 생활 습관이나 활용 쓰임새 달라지는 "애플워치" 배터리 관련 이야기 입니다. 애플워치 보통 사용 시간은 18시간으로 애플의 공식 내용이 있죠, 체감으로 느껴지는 것은 조금 더 짧다는 느낌이 듭니다. 애플워치 배터리 오래 사용하는 방법을 애플에 나와 있는 정보로 여러분에게 소개하도록 하죠. 먼저 애플에서 이야기하는 내용은 ios..

IT 2016.04.09

메모리 정리 아이폰 아이패드 속도향상 방법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속도 개선을 위해서 어플리케이션 지우거나 전원을 On,Off 하는 등 버거로움이 있었죠. 아이폰은 안드로이드 보다는 나은 편이지만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을 느끼며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폰 속도 개선 방법 궁금하여 속도 개선 방법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속도 향상 방법은 2가지 내용으로 간단하게 아이폰 리셋으로 메모리 최적화 하는 법인데요,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 속도 향상에 좋은 방법이니, 아이폰 뿐만 아니라 애플 제품을 간단하게 메모리 리셋으로 메모리 향상 하는 방법으로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아이폰 속도향상 방법 중 알려지지 않은 방법이죠, 전원 버턴을 꾹..... 누르면 밀어서 전원 끄기가 활성화 됩니다. 취소나 전원 끄기를 누르는 것이 아니라 ..

IT 2016.04.06

갤럭시S7 LG G5 공시지원금 + 선택약정할인 제도

최근 국내 유명 기업인 삼성 갤럭시 S7와 LG G5 출시가 있었습니다. 국내 출시 후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할인 받는 것을 두고 논란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어떤 것이 이득이냐 것이죠. 출시한 갤럭시 S7과 LG G5 출고 가격은 32GB 기준 83만 6 천원입니다. 두 기종 가격은 같다고 볼 수 있죠, 스마트폰 구매를 앞두고 고민하는 분이라면 내용 참조하여 선택하셨으면 합니다. 선택약정할인 무엇?선택약정할인 제도는 단말기 따로 구매 후 공시지원금 받지 않고, 약정 기간에 통신 요금을 할인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지난해 4월부터 요금 약정할인제도 폭이 12%에서 20% 상향 되었죠. (20% 중요한 부분입니다) 선택약정할인제도 이용은 스마트폰 구매할 경우 83만 6 천원 기기를 할인 없이 구매합니다...

IT 2016.04.02

AI 인공지능 미래 세계 일류 강대국을 만든다

구글 딥 마인드의 알파고와 이세돌 바둑 대결은 아쉬운 패로 끝나고 많은 이슈를 남기고 있습니다. 이 대결로 인해 많은 사람이 인공지능 발달로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불안감을 갖기도 했는데요. 그 이유가 똑똑해진 [AI] 인공지능 때문에 많은 변수에도 강하다는 것을 알게 하였던 대결이기 때문입니다. 이제껏 강대국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세계는 인구가 많고 발전에 따라 향후 인구가 많은 나라는 강대국이 될 것이라 예측했었습니다. 이번 바둑의 대결에서 보여준 많은 변수를 적응하는 인공지능은 사람을 능가하는 수준까지 올리면서 미래의 생각은 달라졌습니다. ■ 세계 강대국은 왜 인공지능이 만들까?가상 현실로, 세계 1위~1000위까지 투자 귀재의 투자 방법을 알파고 같은 인공지능에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해서 투자 방법..

IT 2016.03.20

휴대폰 요금제(알뜰폰) 가장 싼 것은 앞으로 구글 파이라고 전해라

이 주제로 한번쯤 다루고 싶었던 내용 이였는데요, 앞으로 알뜰폰 요금제가 더 치열해졌다는 내용을 소개하고 싶은 욕심에서 자세히 알아보고 공유합니다. 현재 휴대폰 요금제에서 가장 싼 방식으로 쓰이는 것은 알뜰폰 요금제라고 할 수 있는데요. 많은 분이 오해를 하는 것은 SK, KT, LGU+ 라인이 아닌 별정 통신으로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알뜰폰(MVNO) 경우 기존 SK, KT, LGU+ 라인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 품질이 3사 보다 낮다는 크게 낮다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으로 보면 됩니다. 현재 약 38개의 알뜰폰 사업을 하고 있으며, 사업 기준은 30억 이상 자본금으로 기술계 3명, 기능계 2명 이상 인력이 있으면 사업 가능한 것으로 정부에서 알뜰폰 (MVNO) 활성화로 많은 사업자가 뛰어..

IT 2016.03.17